6. 정다산 유적지
정다산유적(丁茶山遺蹟)은
사적 제107호로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있다.
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이 18년 동안 유배 생활을 하던 곳이다.
정약용은 이곳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며,
다른 한편으로는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등
5백여 권에 이르는 책을 저술하였다. 위키백과-
다산은 타의에 의해 경기도 출신이 전라도 땅 끝의 강진 땅에 유배되어
외롭고 쓸쓸한 다산초당에서 학문의 대업을 이룩하였고,
법정스님은 자의로 불일암이라는 고적한 암자에 칩거하면서
'무소유'의 불도를 깨쳤습니다. 다산은 강진에서 18년,
법정은 불일암에서 17년, 길고 긴 밤과 낮을 보내며 자신들이 이룩하고자 했던 도(道)를 얻었다고 하겠습니다.
180년 전에 다산은 타계했지만,-다산연구소 박석무 글-
다산유적지 올라가는 길의 뿌리의 길 입니다.
'
'
'
'
'
'
'
'
'
'
'
'
'
'
'
다산초당
'
'
'
'
'
다산초당 현판은 원판이 없어져 뒤에 완당(阮堂)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茶山草堂>이라는 현판이 달려 있다.
초당앞과 다조(차를 달이던 청석이)의 모습.
'
'
'
'
'
정석(丁石) ·다조(茶) ·약천(藥泉) ·연지(蓮池) 등 이른바 <다산사경(茶山四景)>이 있는데,
정석은 다산이 석벽에 친히 글씨를 새긴 것이고,
다조는 뒷담 밑 약천의 석간수(石澗水)를 손수 떠다가 앞뜰에서 차를 달이던 청석(靑石)이며,
연지는 초당 동쪽 앞에 수양을 늘어뜨린 아담한 못으로,
그 안에 몇 개의 괴석을 쌓아 석가산(石假山)을 쌓았다.
'
'
'
'
'
초당옆 연지석가산
'
'
'
'
'
'
'
'
'
'
다산 동암
다산초당 건물에서 동쪽으로 연못을 지나면 만나게 되는 동암(東庵)은
다산이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거처를 하던 건물로서 목민심서 등의 저술작업이 이루어졌던 곳이다.
'
'
'
'
'
다산초당 현판과 동암에 걸린 보정산방(寶丁山房) :
정약용을 보배롭게 모시는 산방 현판은 모두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새긴 것이다.
그 중 다산초당 현판은 추사의 글씨를 여기저기서 집자해 만든 것이지만
보정산방은 김정희가 중년 쯤 되었을 무렵 일부러 쓴 것인 듯 명필다운 능숙한 경지를 보인다.-자료-
'
'
'
'
'
'
'
'
'
'
다산 정석
다산이 직접 새겼다고 함
'
'
'
'
'
'
'
'
'
'
천일각
천일각은 그당시엔 없었던 건물이었다고 한다.
'
'
'
'
'
천일각에서 본 구강포는 백련암 에서 본 풍경과 비슷 했습니다.
'
'
'
'
'
'
'
'
'
'
다산 정약용의 철학에 관하여 알고 싶으신분은 읽어 보시며 쉬어기세요.
...자신의 인격수양으로 시작하는 학문...
다산의 학문은 경학(經學)에서 출발한다.
자신의 일생을 회고하면서 쓴 <자찬묘지명>에 "육경(六經)사서(四書)로써 자신의 심신을 수양하고,
일표이서(一表二書)로써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니, 이로써 본(本)과 말(末)을 갖추었다"고 적고 있다.
다산의 학문체계는 경학을 근본으로 하고, 경세학을 그 실현방법으로 보고 있다.
경학을 통해 수기(修己), 즉 자기의 인간됨의 완성을 위해 수양하고,
경세학으로 치인(治人), 즉 완성된 인격과 능력으로 천하와 국가를 경영(세상에 봉사)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유배시절 초기에 경학부터 본격적으로 연구에 들어갔다.
...주자 성리학 비판, 공자 정신으로 돌아가자...
다산은 『오학론』에서 성리학, 훈고학, 문장학, 과거학,
술수학의 다섯가지 학에 관해서 그 폐단을 비판했다.
다산은 당시의 지배적인 학문이던 주자성리학에 안주하지 않았다.
관념화된 주자성리학은 더 이상 시대를 이끌어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다산은 공자와 맹자의 본래 정신으로 돌아가자고 주장한다.
이는 결코 복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동양의 혁명적 사상은 당시의 지배이념에 대한 비판으로 그 근거를 고대의 전통에서 찾곤 했다.
다산의 개혁론도 전통에 내재된 본래적 가치를 재각성함으로써
현재의 묵은 폐단을 제거하는 논리를 취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다산정신으로 돌아가자' 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치라 할 수 있다)
다산은 이론 위주의 성리철학으로 윤색된 육경(六經)과 사서(四書: 논어, 맹자, 대학 중용)를
새롭게 재해석하여 공자, 맹자의 본지(本旨)가 무엇인가를 해명하는 데에 힘썼다.
그 결과가 《논어고금주》48권을 비롯하여 《맹자요의》 9권 등 육경?사서에 대한 232권의 방대한 저술로 남았다.
여기서 다산은 성(性) · 인(仁) · 도(道) · 덕(德) · 명(命) 등
대부분의 유교의 중심적인 명제(命題)들을 다시 해석한다.
이(理)라는 관념의 세계로 해석한 주자와 달리,
실행과 실천이 가능한 실학적 사고로 새로운 경전 해석을 시도한 것이 다산의 경학이었다.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추구하는 학문...
다산은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학문자세를 견지했다.
청나라에서 새롭게 전래된 경전해석 방법인 고증학이나 서양에서 전래된 서학 등 새로운 사조에 열려있었다.
그리고 고증학의 실증적 태도 등 객관적 학문자세를 따르지만 그에 머물지 않았다.
실증이라는 수단에 매몰되지 않고 실용이라는 목적을 추구했다.
인간과 사회의 가치를 추구했던 것이다.
다산은 속유론(俗儒論)에서 '속된 선비는 시의(時宜)를 모르니 어찌 일을 맡길 수 있겠는가?'
라는 주장에 대해 논하면서, 고루한 선비의 잘못을 질타했다.
"참 선비의 학문은, 본디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며,
외적을 물리치고 재용(財用)을 넉넉하게 하며,
문(文)에 능하고 무(武)에 능한 것, 이 모두 해당하지 않은 것이 없다.
어찌 옛 사람의 글귀나 따서 글을 짓고, 벌레나 물고기 등류의 해설을 하고,
소매 넓은 선비 옷을 입고서 예모(禮貌)를 익히는 것만이 선비의 학문이겠는가."
...경세학(經世學),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사상...
경학과 더불어 다산의 중심과제인 경세학은 당시 사회현실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조선후기의 세상은 썩고 병들지 않은 분야가 없었다는 것이 다산의 진단이었다.
"털끝 하나인들 병들지 않은 분야가 없다(一毛一髮無非病耳)"고 보았으며,
"지금 당장 개혁하지 않으면 나라는 반드시 망하고 만다"며 개혁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정약용이 쓴 자찬묘지명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경세유표』를 지은 동기는
'오래된 나라를 새롭게 할(新我之舊邦)' 생각이라 했다.
나라를 완전히 개혁하여 새로운 체제로 바꾸려는 의사로 경세유표를 저작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다산은 숱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민(民)이 근본이다...
다산 경세학의 근저에는 민(民)을 근본으로 여기는 자세 또는 민(民)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다.
다산이 남긴 시문들은 당시 민초의 피폐하고 참혹한 현실을 고스란히 그려내고 있다.
경기 암행어사로 민간에 잠행하면서 농촌의 피폐상을 직접 보고서,
강진 귀양살이 때 국가권력과 아전의 횡포를 직접 듣고서 토해낸 글들이다.
다산은 당시의 치자-피치자의 구조에서 백성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치자의 책무와 피치자의 권리를 각성시키고자 노력했다.
원목(原牧)이라는 글에서 "목민관이 백성을 위해서 있는 것인가,
백성이 목민관을 위해 생긴 것인가?" 이러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목민관이 백성을 위하여 있는 것이라(牧爲民有也)"고 결말을 짓고 있다.
또한 탕론(湯論)에서는 "탕왕(湯王)이 걸(桀)을 추방한 것이 옳은 일인가?",
"신하가 임금을 친 것이 옳은 일인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천자는 여러 사람이 추대해서 만들어진 것이다(天子者 衆推之而成者也)"고 답한다.
그리하여 "옛날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추대했으니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추대하는 것이 순(順)이라"고 보았다.
다산은 목민심서 서문에서 군자의 학문은 수신(修身)이 그 절반이요,
나머지 절반은 목민(牧民 : 백성 다스리는 것)이라 했다.
그리고 목민관으로서 요구되는 덕목으로 '율기(律己: 자신을 다스림)',
봉공(奉公: 공을 받듦), '애민(愛民: 백성을 사랑함)' 세 가지를 벼리로 삼고 있다.
이 모두가 백성 한사람이라도 그 혜택을 입었으면 하는 것이 다산의 마음이었다.
『흠흠신서』를 지은 것도 법의 집행에서
억울한 백성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이러한 다산의 애민정신, 민본사상은 민생을 위한 각종 대책으로 연결된다.
경자유전(耕者有田), 균산병활 원칙에 입각한 토지제도 조세제도의 개혁론을 전개했다.
나아가 제도개혁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생산증대의 방법을 모색한다.
기계와 기술의 도입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기술을 개발하여 백성을 편하고 넉넉하게...
다산은 그의 「기예론(技藝論)」에서 기술을 개발하고 널리 적극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사람이 많이 모일수록 그 기예가 정교하게 되고,
세대가 아래로 내려올수록 그 기예가 더욱 공교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아,
더 넓은 세계의 기예를 배울 것과 새로운 기예를 배우는 것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그리하여 농업의 기예나 직조의 기예를 정교하게 하여 편리함을 도모하고 소득을 올릴 수 있고,
병기의 기예를 정교하게 하여 용맹을 돕고 그 위태로움을 보호할 수 있다고 설파했다.
그 밖에도 의술과 백공의 기예가 정교해지면,
나라가 부유해지고 군대가 강해지고 백성들이 넉넉하여 오래 살 수 있을 것이라 했다.
- 다산연구소 -
이그림은 내려 가시기 전 쉬었다 가시라고 있는 곳 입니다.
와~~~ 시원하다.
'나들이,여행,역사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 하멜 동상 앞에서. (0) | 2011.03.20 |
---|---|
남도의 맛집 수인관 (0) | 2011.03.20 |
강진 백련사 (0) | 2011.03.20 |
남도여행 둘째날 - 김영랑 생가 (0) | 2011.03.19 |
남도 여행 둘째날 - 금곡사 (0) | 2011.03.18 |